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원장 김종덕)은 3월 28일 전 세계 컨테이너 항만의 서비스 지표를 보여주는 「2023년 세계 컨테이너 항만 서비스 지표」를 발표했다.

KMI는 국내 컨테이너 항만의 경쟁력 현황을 점검하기 위해 2021년 4분기부터 매 분기 ‘세계 컨테이너 항만 서비스 지표’를 발간하고 있으며, 연 1회 연간 기준으로도 발표하고 있다.

2023년 전체 선형 기준 세계 컨테이너 항만의 선석생산성은 64.2회/hr로 팬데믹이 발생한 2020년 이후 처음으로 증가세로 전환됐다. 2023년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지속, 고(高)금리로 인한 수요 둔화 등의 어려움이 있었으나, 팬데믹 종료에 따른 영향으로 북아시아(82.7회/hr, +8.2%), 유럽(54.1회/hr, +3.7%), 북미동안·걸프(57.2회/hr, +3.1%) 지역을 중심으로 선석생산성이 회복세를 나타냈다. 다만 여전히 중동·아프리카(59.0회/hr, -5.6%) 및 남미(50.9회/hr, -2.7%) 지역은 감소세가 지속됐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전체 선형 기준 우리나라는 세계 12위로 73.4회/hr를 기록하면서 전년 대비 0.6% 소폭 감소했으며, 순위는 1계단 하락했다. 다만 8,000TEU급 이상 기준에서는 전년 대비 2.1% 증가한 86.8회/hr를 기록하면서 3년 연속 순위가 상승하며 15위를 기록했다. 선석생산성 상위 국가로는 오만(112.2회/hr, 1위), UAE(96.0회/hr, 2위) 등 중동 지역 국가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높은 순위를 차지하였으며, 중국이 94.9회/hr로 전년 대비 10.4% 증가하면서 1계단 상승한 세계 4위를 기록했다.

항만별 전체 선형 기준 부산항은 74.9회/hr로 전년 대비 0.8% 감소하였으나, 광양항(69.1회/hr, +8.1%)과 인천항(59.3회/hr, 2.6%)은 전년 대비 증가세를 기록했다. 글로벌 주요 컨테이너 16개 항만 중에서 제벨알리항(94.9회/hr, -3.7%)을 제외한 모든 항만이 전년 대비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중국의 주요 컨테이너 항만인 칭다오항(113.6회/hr, +18.2%), 톈진항(112.4회/hr, +14.3%), 옌톈항(93.2회/hr, +15.6%)이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이는 지난해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에 따른 감소율의 기저효과를 감안하더라도 팬데믹 이전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는 점에서 중국이 팬데믹의 영향에서 완전히 벗어난 것으로 보인다. 그 외 뉴욕/뉴저지항(72.5회/hr, +19.0%), 로테르담항(69.8회/hr, +5.8%), 싱가포르항(82.2회/hr, +1.1%), 탄중펠레파스항(89.4회/hr, +5.9%) 등도 전년 대비 증가하면서 완연한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KMI 항만수요분석연구실은 “2023년 세계 컨테이너 항만의 선석생산성은 팬데믹 종료에 따른 영향으로 전년 대비 회복세를 나타냈으나, 국내 컨테이너 항만의 경우 회복세가 더디게 나타나고 있어 서비스 경쟁력 확보를 위한 대책 강화가 필요하다. ” 고 밝혔다.

저작권자 © 해운산업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